반응형
한국 언론의 ‘프레임’ 보도, 이제는 달라져야 해요!
📌 왜 지금, 아프리카 보도가 문제일까요?
서울에서 열린 **'아프리카 강제실향 해법 국제포럼(2025.4.24)'**에서
이은별 고려대 박사가 한국 언론의 아프리카 보도 관행을 강하게 비판했어요.
그 핵심은? “아프리카는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, 하나의 세계다!” 🌍
🔎 발표 핵심 정리: 한국 언론이 빠진 5가지 함정
함정내용 요약
1️⃣ 이분법적 보도 | ‘서구 vs 비서구’ 시각으로 아프리카를 단순화 |
2️⃣ 전문성 부족 |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전문 기자·인프라 부족 |
3️⃣ 사건사고 중심 | 질병·내전·갈등 등 부정적 이슈에만 집중 |
4️⃣ 일탈·갈등 프레임 | 선정적이거나 충돌적 이슈만 주목함 |
5️⃣ 아프리카인 소외 | 당사자 목소리는 배제, 외신 인용만 반복 |
🎥 발표자 이은별 박사는 누구?
- 📚 저서: 『시네 아프리카』 (아프리카 문화를 영화로 해석)
- ✈️ 짐바브웨 현지 거주 경험 2년
- 🎤 주제: "프레임에 갇힌 아프리카: 미디어의 선택과 배제"
🧠 더 나은 보도를 위한 제안들
제안구체적 내용
✅ 사실 확인 강화 | 출처 검증, 프랑스어권 보도도 확인 |
✅ 현지 전문가 활용 | 당사자 목소리 중심의 인터뷰 확대 |
✅ 국제뉴스 리터러시 교육 | 수용자도 비판적 뉴스 읽기 능력 키워야 |
✅ 특파원 확충 | 예산 지원 통해 ‘현장 중심 보도’ 강화 필요 |
🗣️ 유엔난민기구의 지적도 주목!
- 📉 한국 포함 90% 난민 보도는 부정적, 사건 중심
- 🙆 난민 포용 성공 사례는 보도 거의 없음
- 📈 케냐 카쿠마 난민촌은 지역경제 3.4% 기여 사례도 존재!
📰 연합뉴스 우분투추진단의 약속
“예산 한계에도 불구하고, 현장 목소리 중심의 아프리카 보도를 확대하겠습니다!”
(현재 특파원 1명, 남아공 요하네스버그)
✅ 요약하자면?
- 한국 언론의 아프리카 보도, 여전히 ‘사건·사고’ 프레임에 갇혀 있음
- 현지 맥락·문화·사람 중심 보도로 관점 전환 필요
- 독자들 역시 **뉴스를 읽는 힘(리터러시)**을 키워야 할 때!
🌍 다비의 한마디
"아프리카는 ‘고통받는 대륙’이 아닌, 가능성과 다양성의 대륙이에요!"
이젠 미디어도 프레임 밖으로 나올 때입니다 🧭✨
반응형
'오늘의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🔥코엑스 식당 화재! 삼성동 뒤덮은 검은 연기…WIS 2025도 ‘일시 중단’ 🛑 (0) | 2025.04.25 |
---|---|
유흥식 추기경, “차기 교황 예측? 의미 없어요” (1) | 2025.04.25 |
"5·18 북한군 개입 여부, 모른다?"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장 퇴장! (2) | 2025.04.24 |
🔥 경북 산불, 27명 사망, 9만9천ha 불탔다… (1) | 2025.04.24 |
토트넘의 철벽 수비, 로메로의 작별 준비? 🇦🇷 (2) | 2025.04.24 |